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야기

시험 볼 때마다 긴장한다면?(시험 불안증, 상호제지이론)

by 세현T 2023. 1. 17.
반응형

학생들 중에는 유독 공부는 잘하지만 시험만 보면 실수를 많이하고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특히 수능이나 국가고시와 같은 일 년에 한 번 뿐인 고부담의 시험일수록 더 많이 긴장하게 됩니다. 

 

저 또한 많은 시험들을 볼 때 유독 실수가 많아서 걱정이 많았습니다. 시험이 끝난 뒤 잘 봤다고 생각하고 기대되는 마음에 채점을 하면 꼭 실수가 한 개 이상씩 있었고, 수능을 마친 뒤에도 많은 실수로 슬퍼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큰 부담이 있는 시험에서 제한된 시간 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란 정신적으로 큰 압박을 받게 됩니다.

 

평가의 목적이 잘못되었다.

 

사실 청소년들이 보는 평가의 목적은 '선별'이 되어선 안됩니다. 시험 결과로 비교되는 선별이 목적이 되는 평가는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큰 해를 줍니다. 펴악의 목적은 '선별'이 아닌 '성장'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성취평가제가 시행된 것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에 단일 주제로 다루겠습니다.)

 

하지만 만은 아이들은 '선별'위주의 평가를 통해 평가가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평가의 결과에 따라 칭찬과 격려를 받는 아이들도 있겠지만 많은 아이들은 질책과 벌을 받습니다. 혹은 그 결과에 따라 실패를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런 좋지 않은 경험들이 쌓이고 쌓여서 결국 시험 불안증세가 나타납니다.

 

(복습) 상호제지이론

 

시험 불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지난 포스팅에 언급했던 윌페의 이론이 필요합니다. 

https://parkedu.tistory.com/entry/공부-싫어하는-아이-어떻게-교육할까공부-흥미-공부법-윌페-상호제지이론

 

짧게 다시 언급하자면 윌페는 상반된 감정은 동시에 느끼지 못하는 '상호제지이론'을 발견하였습니다. 즉 기쁨과 슬픔은 함께 느낄 수 없죠. 그리고 이 상반된 감정은 서로를 밀어냅니다.(예를들어 슬픈 일이 있는데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과 같이요.) 이 '상호제지이론'을 기반으로 한 치료법인 '체계적 둔감법'을 통해 시험불안 및 각종 불안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가 아닌 이상 그 효과가 미비할 수 있기에 그 증상이 심하다면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함을 꼭 알아두세요!

 

시험 불안을 치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시험불안을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윌페의 '체계적 둔감법'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체계적 둔감법은 상호제지이론을 기반으로 합니다. 시험불안은 부정적인 감정입니다. 윌페의 상호제지이론에 따르면 상반된 감정은 서로를 밀어낸다고 했습니다. 즉, 이 시험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선 시험불안을 밀어 낼 거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큰 부정적인 감정을 밀어낼만한 긍정적인 감정은 찾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은 아주 작게 그리고 평소에 좋아하거나 자신을 편안하게 하는 것들은 아주 큰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예를들어 평소 자신이 유독 라벤더 향을 좋아한다면 짙은 라벤더 향을 맡으며 간단한 쪽지시험을 봅니다. 그래서 쪽지 시험에 익숙해지면 조금은 연한 라벤더 향을 맡으며 20분 정도의 짧은 시험을 치룹니다. 이렇게 좋아하는 향기를 맡는 행동과 싫어하는 시험을 보는 행동을 동시에 실시합니다. 그래서 라벤더 향을 맡는 편안한 감정이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밀어내어 시험을 볼 땐 불안감을 덜 느끼도록 하고, 점차 좋아하는 것들은 줄이고 시험의 부담감을 늘리게 된다면 결국엔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이겨낼 수 있을 때까지 부담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윌페는 체계적 둔감법이라고 명하였습니다.

 

 

이 치료가 꼭 필요하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함께!

 

저는 교육을 전공하였기에 이정도 까지만 알고 있지만 실제 정신분석학을 공부하시는 분들도 배우고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건 이런 치료방법이 있고 그 과정을 이해하고 있다면 시험불안에 대한 대응에 도움이 될까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사실 이 방법은 그렇게 간단한 방법은 아닙니다. 근육의 이완과 수축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고 어느 정도의 비율로 두 상반된 감정을 제시할지에 대해선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앞서 말했듯이 혹여나 정말 시험불안이 커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혼자서 극복하려 하지 말고 전문가와의 상담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맺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학생들이 시험에 대한 불안감이 생기지 않도록 왠만하면 부담이 큰 시험이 끝나면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혹여나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않은 학생들은 이미 스스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부모와 교사의 질책과 훈계가 필요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건 사랑의 마음으로 아이들을 이해하고 그 사랑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